(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면서 정부가 추가 대책을 암시했다. 과열 지역은 추가 규제를, 둔화 지역은 규제 완화를 각각 적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6일 KB 부동산의 주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4% 상승하며 약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102.6을 기록해 3월 26일 이후 처음으로 사려는 사람이 팔려는 사람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현미 장관이 집값 안정을 선언한 지 한 달여 만에 국토부는 추가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 급기야 국토부는 지난주 보도참고자료를 발표하면서 투기지역 등을 추가 지정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서울시 전체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가운데 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추가 규제로 양도소득세가 10%포인트 가산되고, 가구당 주택담보대출이 1건으로 제한된다.

투기지역은 직전월 집값 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의 130%를 초과한 지역 중에서 직전 2개월 평균 집값 상승률이 전국 집값 상승률의 130%를 넘거나 직전 1년간 집값 상승률이 직전 3년간 연평균 전국 집값 상승률을 웃돌 때 지정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광역급행열차(GTX)-A노선 확정 이후 집값이 오른 은평구와 투기지역인 강남과 마포의 여파가 미치는 동작구, 서대문구 등을 후보지로 꼽고 있다.

국토부는 시장이 안정된 지역은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최근 집값이 안정되고 있는 부산이 유력한 가운데 김 장관이 연초에 검토하겠다고 밝힌 부동산 위축지역 지정이 구체화할 수 있다.

지방은 입주예정물량이 계속 대기 중인 데다 지역 산업이 무너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관리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가계부채 총량을 관리하고 건전성을 유지하는 것 못지않게 자금 공급이 제약됐을 때 시장의 파급 효과도 중요하다"며 "지방 집값은 예기보다 낙폭이 커져 부분적으로라도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국토부와 서울시가 부동산 관련 이슈로 마찰을 빚었던 것과 관련해 안정적인 시장 운영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부랴부랴 협의체를 출범시키고 협력하기로 합의했지만, 서울 집값 상승에 대해 다른 해석을 내놓는 등 갈등의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 않은 모양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스탠스를 정확히 해야 가격을 전망할 수 있는데 국토부와 서울시가 다른 얘기를 하니 가격 예측이 힘들다"면서 "정작 부동산시장 안정을 도모해야 할 정부가 불안을 부추기는 꼴"이라고 말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