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10월 금융통화위원회를 하루 앞두고 주택시장에 채권시장 참가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금리 인상의 주요 논거로 꼽히는 주택시장 흐름에 따라 금통위의 인상 시점 판단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1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이달 둘째 주(지난 8일 기준)에 0.07% 상승해, 한 주 전(0.09%)보다 오름폭이 작아졌다.

감정원은 9·13 대책과 9·21 공급대책 영향에 매도자·매수자 모두 관망세가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급등하던 서울 주택가격의 상승세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자 금리 인상 논거가 약해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앞서 두 명의 금통위원은 지난 8월 말 열린 통화정책 회의에서 부동산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금리 인상 필요성을 직접 언급한 바 있다.

A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정부 대책이 먹히고 있어서 이달 급하게 금리를 올릴 필요성은 작아진 것 같다"며 "성장률 전망치를 내리고, 바로 금리를 올리는 것도 모양새가 이상하다"고 말했다.

다만 주택시장 평가에 따라 참가자들의 판단도 엇갈린다.

서울 지역 집값이 안정됐지만, 경기도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확산 방지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감정원에 따르면 같은 기간 경기도의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02%에서 0.10%로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고양시 덕양구의 상승 폭은 0.40%로 전국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인근 서울 은평뉴타운의 상승세가 확산했다.

B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부동산 대책 발표에 눈치 보는 관망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금리 인상 전망이 일부 반영된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주택시장이 다시 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 금통위원은 지난 8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국지적 부동산 과열 현상의 원인 중 하나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을 지목하며 풍부한 유동성이 원인이라면 정부 감독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C 자산운용사의 채권 운용역은 "정책 공조 차원에서 중요한 건 타이밍이다"며 "한은이 금리 인상을 뒤로 미루고 집값이 급등하면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고 말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한국감정원>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