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주택건설에 따른 건설 일자리 증가가 제조업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구제에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 간 전문기술, 임금 등 노동환경 차이가 이를 가로막은 것으로 나타나 재취업 교육 활성화와 노동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23일 한국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4년~2017년 제조업의 적정수준 대비 초과구직자는 3만9천900명으로 2010년~2013년 -500명에서 대폭 증가했다.

2015년 이후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제조업의 일자리가 줄어 4만 명에 달하는 초과구직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건설업의 적정수준 대비 초과구직자는 -16만3천600명을 나타냈다. 건설업에서는 16만 명을 더 고용할 수 있지만 일손을 구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한쪽에서는 구조조정으로 실업에 내몰리고 있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일할 인력을 구하지 못해 발을 구르는 상황이 발생한 셈이다.







<출처: KDI>



올해 제조업의 초과구직자는 5만4천700명으로 지난해 4만6천100명보다 8천 명 증가했는데, 건설업의 초과구직자는 무려 -20만1천800명을 나타냈다.

건설업종에 20만 개의 일자리가 있는 데도 일자리를 찾아 이동하기보다는 제조업의 일자리가 나오기를 기다리는 사람이 5만 명에 달한다는 의미다.







<출처: KDI>

이는 건설업과 제조업의 전문기술이 다른 데다 임금 등 노동환경 격차가 장벽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김지운 KDI 연구위원은 "분석방법론상 이유를 정확히 밝히기는 어렵다"면서도 "조선업과 건설업의 기술 차이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기술적 특징이 약한 도소매업 구직자는 타 업종으로 이동이 용이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효율적인 재취업 교육이 이뤄진다면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며 "임금 및 근로조건 경직성이 완화돼 산업 간 실업자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노동시장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